2025. 1. 31. 20:58ㆍ종주산행/코리아 둘레길
봉화대로 135km
조선시대 간선도로망 6대로 체제에서 평해로와 영남로(동래로)라는 두 대로 사이의 간선도로
의 하나로 서울에서 경북 봉화로 이어지는 큰 길이었다,
1770년 신경준의 도르고 에서 봉화로는 정식 간선도로망 중 하나로 인정 받지는 못하니 점차
상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10대로의 도로망 확장체제에서 경북지역을 연결하던 길이었다,
한양에서 광주와 이천을 거쳐 충주까지 이어지는 봉화로의 노선은 거의 직선에 가깝고 기복이
적어 최상의 교통 여건을 구비한 곳이였으며, 한강 유역에서 상업 활동을 하던 상인들에게
주요한 상업로로 활용 되었다,
특히 봉화로는 노선이 거의 직선에 가깝고 기복이 적고 강이나 내(川)는 건너기 힘든 장애물이
없어 최상의 교통여건을 구비하여 "소의 이동" 이 보장되는 牛路(우로)로 활용되었다,
봉화로의 중요성은 역대 조선왕조의 실록과 왕실족보인 璿源譜(선원보)가 移運(이운) 되던
역사 保障(보장)의 길이라는 것이다,
태백산로라고 불리기도 한 봉화로는 10대로 중 종점이 유일하게 내륙인 것도 특징이다,
현재 남겨진 문화유산은 옛 선조들의 생활문화의 큰 줄기가 되는 도로(옛길) 주변에는 다양한
문화유산이 존재하는데 봉화로 역시 많은 유산과 지역의 명소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독특한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도보길 이다,
--------------------------
옛길을 찾아 새길을 걷는다, 서울에서 땅 끝까지 장거리 트레일 워킹코스
- 01역대 조선왕조의 실록(實錄)과 왕실족보인 선원보(璿源譜)가 이운(移運)되던 길
- 02선비들이 한양으로 과거를 보기 위해 걸었던 과거길
- 031,000년을 이어온 ‘광주(廣州)’의 세월을 느껴보는 길
- 04곤지암에 깃든 이야기, 역사의 위인을 찾아 가는 길
- 05이섭대천(利涉大川)의 이천, 삼국시대 격전장의 역사를 담은 길
- 06협궤열차, 수려선(수원-여주)의 옛 흔적을 찾는 길
- 07영릉(寧陵)을 참배하기 위해 임금이 걸었던 거둥길
- 08황금들녁의 비경을 찾아가는 결실의 길
- 09설성산 정상에서 느껴지는 여운, 역사 보장(保藏)의 길

---------------------
일정 계획 (경기옛길 봉화길 135km)
일정 | 길 | 길이 | 시간 | 만남 | 비고 |
1회차 | 1길 13km 2길 19km |
32km | 10 | 하남검단산역 | |
2 | 3길 15km 4길 11km |
26km | 7 | 경기 광주역 | |
4 | 5길 16km 8길 20km |
36km | 11 | 신둔도예촌역 | |
3 | 6길 14km 7길 11km |
25km | 7 | 부발역 | |
5 |
9길 16km |
16km |
5 |
설성면행정복지센터 |
|
합 | 135 km | 40 시간 | // |

-----------------
1회차
눈이 내리는 날 봉화길을 시작하여 모두 즐거운 마음입니다.~
시작할 때 지도스탬프북을 받아아 하는데 깜박하고, 광주향교에 가보니 지도.스탬프북이
하나도 없읍니다.~ 우리 19명은 어찌하나요?
-코스 : 봉화길 1~2길
-거리/시간 : 37.59 km/ 9h55m
-참석자 : 데이비스,정희,규원,블루힐,잔디로,코리아,천년바위,곽설탕,김기동,심문,구름달,
바다와하늘,연가리,아가본드,나진희,맑여울,청솔해,대련 (19명)
--------------------
1길과 2길의 합


1길을 하남검단산역에서 시작합니다.~


메타쉐콰이어길을 살작 밟아봅니다.


광주향교














눈이 참 많이 내렸읍니다.

북문

중식, 1길 끝내고 남한산성에서

1길 기록

중식 후 2길을 이어갑니다.









경기옛길 패찰을 달고 있읍니다.










한옥마을이 눈속에 묻혀 있읍니다.


6시가 넘으니 어둠이 깔려옵니다.

청석공원도 눈밭 입니다.



경기광주역에서 1길과 2길을 마칩니다.



2길의 기록에 에러 발생

허기에 지친 심신을 달래느라고 정신이 없읍니다.

'종주산행 > 코리아 둘레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옛길 봉화길 (제6길~제7길) (0) | 2025.02.09 |
---|---|
경기옛길 봉화길 (제3길~제4길) (0) | 2025.02.02 |
섬진강 자전거길 4/4일차 (0) | 2023.06.16 |
섬진강 자전거길 3/4일차 (0) | 2023.06.16 |
섬진강 자전거길 2/4일차 (0) | 2023.06.16 |